청봉선사의 강설
28. 法身非相分 第二十六 (법신은 상이 아님)
法身非相分 第二十六 (법신은 상이 아님)
須菩提야 於意云何인가 可以三十二相으로 觀如來不하느냐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서른 두 가지 상호로써 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
須菩提言하되 如是如是이니다 以三十二相으로 觀如來이니다
수보리가 말씀드리기를 “그렇고, 그렇사옵니다. 32상호로써 여래를 볼 수 있사옵니다.”
淸峯:수보리는 석가여래께서 32상호를 갖추셨으므로 말에 쫓아 32상으로써 여래를 볼 수 있다고 한 것이다.
그러하나 멀리 연기(相)를 봄으로 분명코 불(眞如)이 있는 줄을 아는 것과 같으니 불(體)을 여의고서는 반드시 연기(用)가 없음도 알아야 한다.
佛言하시되 須菩提야 若以三十二相으로 觀如來者라면 轉輪聖王도 卽是如來인가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수보리야! 만약 32상으로써 여래를 볼 수 있다고 하면 전륜성왕도 곧 여래이냐?”
淸峯:전륜성왕도 그러한 32상호를 갖췄으니 곧 여래라 할 수가 있다는 말이 아니냐? 하고 반문하신 것이다. 곧 여래는 상이 있음이 아닌 진공 묘유한 우주의 근본 체성인 것이다. 또한 6통신을 갖추어야 부처님이라 하며 전륜성왕은 5통신에 머물고 있는 개체이다.
須菩提가 白佛言하되 世尊이시여 如我解佛所說義로는 不應以三十二相으로 觀如來이니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말씀드리기를 “세존이시여! 제가 부처님이 말씀하신 뜻을 알기로는 마땅히 32상으로써는 여래를 보지 못하겠나이다.”
淸峯:어째서 수보리가 처음에는 볼 수(見) 있다 했다가, 다시 볼 수(觀) 없다 한 것일까? 현상으로 보는 상으로는 공적한 진여를 볼 수 없음을 일깨워 주신 것이니, 여래는 상대적인 상으로 존재하는 성품이 아니라 여여하여 있음이 없이 있는 공 한 것으로 법신은 계합하여 증오할 뿐인 것이다. 미혹하여 상(相)으로 좇아 보나(見) 끝내 부처가 무상 법신임을 깨닫(觀)게 되는 것이다. 전륜성왕도 32상호를 갖추고 있다. 그것으로 비행황제일지언정 법신 부처라 할 수 없는 것이다. 부처는 형상이 본래 없는 본성 체이기 때문이므로 형상에 쫓아 부처를 구함을 경계하신 말씀이다. 그러나 상을 통하여(化身) 무상(自性)을 증오(觀)하게 되는 것이므로 유상에도 무상에도 집착하지 않아야 하는 것이니, 본성인 여래는 이 모두를 초월한 보편 자재함인 것이다.
爾時에 世尊이 而說偈言하시되
若以色見我이거나 以音聲求我하면
是人行邪道이니 不能見如來이니라
이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시기를
만약 모습으로 나를 보거나
음성으로써 나를 구하려 하면
이 사람은 사도를 행함이니
능히 여래를 보지 못할 것이니라.
淸峯:聲(눈으로 볼 수 없이 있는 것), 色(눈으로 볼 수 있는 형상)으로서 여래를 헤아려 알고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여래는 근본체인 진여 법성인 것이므로 형상이나 소리나 어떤 현상으로써 존재하는 것이 아닌 것이기 때문이다.
근본 체를 관함으로써 견성 성불하는 것은 언설로서나 형상으로서나 알음알이를 내거나 헤아려 아는 것이 아니다. 오직 스스로 체달, 체인, 증오하여 증득할 뿐이다. 다시 말하면 현상은 눈(귀, 코, 혀, 몸)을 통하여 식(識)으로 보는(見) 것이며, 진여는 무위 무상이므로 항상 하는 청정한 체(體)인 것이기 때문에 관(觀)하여 계합 해 깨우쳐 알 뿐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성, 색은 생, 멸을 따르는 것이다. 생멸 하는 상에 끄달려서는 정각을 성취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며 곧 삿됨인 것이다.
따라서 여래는 상대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인식의 분별로써도 알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나 성색으로 여래의 참모습을 구하는 것도 성색을 여의고 구하는 것도 변견인 삿된 도의 행함이 되는 것이다. 성색(聲色)을 여의고 여여한 여래가 없으니 여래란 실상이 공적(空寂)한 도리임을 알아야 한다.
부처님의 모습이나 소리의 근본 체성을 깨달아야 한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
61 |
![]() |
무애심 | 2023-12-15 |
60 |
![]() |
무애심 | 2023-12-15 |
59 |
![]() |
무애심 | 2023-12-15 |
58 |
![]() |
무애심 | 2023-12-15 |
57 |
![]() |
무애심 | 2023-12-15 |
56 |
![]() |
무애심 | 2023-12-15 |
55 |
![]() |
무애심 | 2023-12-15 |
54 |
![]() |
무애심 | 2023-12-15 |
53 |
![]() |
무애심 | 2023-12-15 |
52 |
![]() |
무애심 | 2023-12-15 |